2025년 5월부터 달라진 육아휴직 급여-250만원 생존선

 

육아는 멈출 수 없는데
소득은 멈춰버릴까봐 망설였어요.

2025년 5월부터 달라지는 육아휴직 급여,
그 변화가 ‘선택의 여지’가 되어줄 수 있기를 바라며
꼼꼼히 정리해드릴게요.

2025년 5월부터 달라진 육아휴직 급여
육아휴직 급여-250만원 생존선

 

#1. 첫 3개월, 250만 원이라는 생존선

 

출근 대신, 아이를 안았다.

그 결정이 한 달 치 고정 지출보다
더 큰 용기를 필요로 했어요.

 

 

육아휴직 첫 3개월 급여 인상

 

 

통상임금 80%, 상한은 250만 원으로

 

 

2025년 5월부터,
육아휴직 첫 3개월 급여 상한이 250만 원으로 인상돼요.
기존 150만 원에서 100만 원이나 오른 수치예요.

급여 계산은 통상임금의 80%를 기준으로 하고,
상한선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급돼요.

‘이 정도면 버틸 수 있을까?’라는 고민에
조금 더 현실적인 기준이 생긴 변화예요.

 

 

우리가 포기한 건 직장이 아니라, 매달의 안심이었어요

 

 

#2. 4개월 이후부터는 80만 원 정액

 

세 달은 빠르게 지나가요.
그다음이 문제였죠.

복직이 어려운 경우,
급여는 어떻게 되는지 막막했어요.

 

 

4~12개월, 누구에게나 80만 원 고정 지급

 

 

소득수준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

 

 

이전에는 소득에 따라 차등 적용됐던 급여가
2025년부터는 정액 80만 원으로 통일돼요.

4개월 차부터 12개월까지,
누구나 같은 금액을 받을 수 있어요.

다소 적게 느껴질 수 있지만,
예측 가능한 지원이란 점에서 큰 의미가 있어요.

 

 

고정된 숫자보다, 고정된 믿음이 더 고마웠어요

 

 

#3. 육아휴직 급여, 최소 보장 금액도 확대돼요

 

“우리는 받을 수 있는 걸까?”
자격조차 애매했던 시절이 있었어요.

그래서 ‘최소’라는 말이
더 크게 다가왔던 거 같아요.

 

 

육아휴직 급여, 최저 지급액 인상

 

 

기준 미달자도 일정 금액은 보장돼요

 

 

2025년 개정안에 따르면
최소 보장 금액도 확대돼요.

통상임금이 매우 낮은 경우에도
1개월 기준 최소 70만 원 선 보장이 가능해졌어요.

비정규직, 단시간 근로자에게는
‘없음’과 ‘적음’의 차이가 너무 컸거든요.

 

 

적더라도, 없는 것보단 훨씬 따뜻했어요

 

 

#4. 부부가 함께 쓰면 더 많은 지원이 가능해요

 

“남편이 같이 쉬면 안 돼요?”
그 질문 하나에
모든 균형이 달라졌어요.

 

 

부부 동시 육아휴직도 확대

 

 

순차 사용 시 보너스 급여 적용

 

 

2025년에도 부부가 순차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,
두 번째 사용자는 ‘보너스급여’를 받을 수 있어요.

첫 3개월 동안은 통상임금 100%, 최대 250만 원 지급이에요.
단, 부부가 동시에 휴직하는 경우는 일부 제한이 있으니
사용 순서를 조율하는 것이 중요해요.

맞벌이 부부라면 전략적으로 사용하면 더 큰 혜택이 생겨요.

 

 

우리가 나눈 건 휴직이 아니라, 돌봄의 순서였어요

 

 

#5. 1년 안에 나눠 써도 돼요 – 분할 사용 제도

 

한 번에 쉬는 게 어려운 환경이라면,
‘쪼개 쓰는’ 방법도 있어요.

그래야 현실과 제도가
조금이라도 맞닿거든요.

 

 

육아휴직은 1년 내에서 분할 사용 가능

 

 

최대 2회까지 나눠 신청할 수 있어요

 

 

2025년 기준,
육아휴직은 총 1년 한도 내에서 최대 2회 분할 사용이 가능해요.

예를 들어,
3개월 쓰고 복직 후
다시 9개월 휴직 신청도 가능해요.

직장 상황과 육아 상황을 모두 고려한 유연한 구조예요.

 

 

한 번에 쉬진 못했지만, 아이 곁에 두 번은 설 수 있었어요

 

 

[요약 정보]

  1. 첫 3개월 급여: 통상임금 80%, 상한 250만 원
  2. 4~12개월 급여: 정액 80만 원 지급
  3. 최소 지급 보장: 통상임금 낮아도 일정 금액 지급
  4. 부부 육아휴직: 순차 사용 시 보너스급여 적용
  5. 분할 사용: 1년 이내 2회 분할 가능

 

육아휴직급여 계산법이 궁금하시다면

2025.05.02 - [[3. 육아·가정 복지 혜택]] - 육아휴직 급여 실수령 계산법 – 2025년 최신 반영 완전 정리

 

육아휴직 급여 실수령 계산법 – 2025년 최신 반영 완전 정리

아이를 안고 있으면계산기보다 걱정이 먼저 켜져요.‘얼마 받는다’보다 ‘이걸로 가능할까’가 먼저 드는 현실,육아휴직 실수령액,이 글로 가장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 #1. 실수령액, 결국 통장

hhss198384.com

 

 

 

✍️ 글쓴이: 뉴스줍줍러 | 정부지원금 정보 아카이브 운영자

2025년부터 정책 정보에 관심을 갖고
기록을 시작한 초보 블로거입니다.
 “누구나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”
이 블로그의 목표예요.

아직은 SNS도, 구독시스템도 없지만
꾸준히 정리하며 하나씩 채워가는 중입니다.
언젠가 인스타그램이나 뉴스레터로도 찾아갈게요 :)

💬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감으로 알려주세요!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