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단어, 구(phrase), 절(clause)의 차이 쉽게 이해하기


단어(word)란?
- 문법에서 가장 작은 ‘의미 단위’예요.
- 한 단어가 각자 품사를 가지고 있어요.
예: apple, run, quickly

구(phrase)란?
-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하나의 품사 역할을 하는 ‘덩어리’예요.
- 구는 보통 ‘주어’, ‘목적어’, ‘수식어’ 역할을 해요.
- 중요한 점: 구에는 ‘주어’와 ‘동사’가 없어요!
예)
- at school (전치사구, 장소 알려줌)
- very big (형용사구, 크기 설명)
- to eat lunch (부정사구, 행동 목표)

절(clause)란?
- “주어 + 동사”를 포함한 단어들의 묶음이에요.
- 독립적으로 ‘완전한 생각’을 말할 수도 있고,
- 다른 절에 속해서 전체 문장의 일부가 되기도 해요.
예)
- She runs. (독립절, 완전한 문장)
- When she runs (종속절, 시간 설명)

단어 < 구 < 절 < 문장
- 단어들이 모여 구가 되고,
- 구와 주어·동사를 포함하면 절이 되고,
- 절이 모여 문장이 되는 거예요.

쉽게 이해하는 비유
- 단어는 ‘레고 한 조각’
- 구는 ‘여러 조각을 붙인 작은 모듈’
- 절은 ‘모듈이 모여 만든 큰 조각’이고,
- 문장은 ‘큰 구조물’이에요.

오늘의 연습문제
아래에서 ‘구’와 ‘절’을 찾아보세요!
- I eat lunch at school.
- When I eat lunch, I feel happy.
- She wants to play outside.
1. I eat lunch at school.
- I eat lunch : ‘절’
주어 I와 동사 eat가 들어 있어요.
→ ‘나는 점심을 먹는다’ 라는 완전한 문장 - at school : ‘구’
‘at’은 전치사, ‘school’은 명사 두 단어가 모여 ‘학교에서’라고 장소를 알려줘요.
→ 주어, 동사 없이 의미를 더해주는 덩어리
2. When I eat lunch, I feel happy.
- When I eat lunch : ‘절’
주어 I와 동사 eat가 있음, ‘내가 점심을 먹을 때’ - I feel happy : ‘절’
이것도 주어 I와 동사 feel이 있어서 ‘나는 행복하다’라는 완전한 문장 - 이 문장은 절이 2개 붙어있는 문장이에요.
3. She wants to play outside.
- She wants : ‘절’
(주어 She와 동사 wants가 들어 있는 완전한 문장) - to play outside : ‘구’
(‘to+동사원형’ 형태의 부정사 구,
→ 주어, 동사는 없고 ‘밖에서 노는 것’이라는 의미 덩어리)
진짜 쉬운 핵심
- ‘절’은 꼭 주어+동사가 있어요(누가~한다)
- ‘구’는 주어+동사가 없이 그냥 꾸며주거나 덩어리로 의미를 더해줘요(어디서, 무엇을, 어떻게 등)
- 한 문장 속에 구와 절이 같이 있을 수 있어요

오늘의 미니퀴즈
다음 중 구(phrase)는?
- in the morning
- He runs fast
- to swim in the pool
답: 1, 3은 구, 2는 절 (주어+동사 포함)

32일차는 영어 문장 속에서 단어와 구, 절의 차이를 알기 쉽게 익혀,
긴 문장도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키워봤어요
33일차부터는 ‘절 & 문장’ 내용을 더 깊이 탐구해 나가겠습니다!
[영어문법공부 쌩초보] - 영어 문법 기초_어린이&완전초보&시니어까지 33일차(구vs절 쉽게 구분하기)
반응형
'영어문법공부 쌩초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늦게라도 영어공부, 늦었다 생각할 때 시작해야 하는 진짜 이유!!_영어 문법 기초_어린이영어_기초영어_기초영문법_기초영어_영어공부 (0) | 2025.10.29 |
|---|---|
| 초보영어 구 vs 절, 혼자서도 완벽하게 구분하는 실전 연습 팁! ✏️ (0) | 2025.10.29 |
| 어린이영어 독해력, 문법으로 쑥쑥 올리는 비밀! 엄마표 공부 팁 공유! 🍎 (0) | 2025.10.28 |
| 영어문법기초 문장 5형식, 노베이스도 깔끔하게 마스터하는 비결! 👑 (0) | 2025.10.28 |
| 영어공부법 문장 3, 4형식, 헷갈리는 수여동사! 실제로 써보니 이해가 빨라요. 💫 (0) | 2025.10.27 |